울릉도 할아버지와 내 친구의 소중한 행복 (박종갑 명예교수)
울릉도 할아버지와 내 친구의 소중한 행복 박종갑 명예교수 (국어국문학과) 한 20년 전쯤,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가 경상북도의 지원을 받아 ‘울릉도에 대한 종합적 연구’를 추진하였다. 그 때 나를 포함한 국문과의 몇몇 교수들과 대학원생들이 이 연구 프로젝트의 한 영역인 울릉도 방언연구를 위해 며칠씩 수차례 울릉도에 체류하면서 방언조사를 한 적이 있다. 적절한 제보자를 찾기 위해 여기저기를 수소문하며 돌아다니다가 만난 어떤 할아버지 한 분이 우리에게 보기 드문 구경거리가 있다며 어떤 무덤 군이 있는 곳으로 안내했다. 그렇게 크지 않은 무덤들이 여럿 있는데, 하나같이 무덤의 정면에 사람이 하나 정도 겨우 들어가 앉을 만한 얕은 굴이 있었던 것 같은 흔적이 남아 있고, 그 앞에는 밥그릇 같은 식기들이 몇 개씩 나뒹굴고 있었다. 할아버지는 우리에게 정말 대단한 문화유적을 소개한다는 듯이, 의기양양하게, 이게 바로 울릉도에만 있는 ‘고려장’의 흔적이라고 했다. 늙은 부모를 이 굴 속에 들여다 놓고는 간혹 밥을 갖다 주기도 했다는 것이다. 우리는 그 때 워낙 갑자기 그런 희한한 형상의 무덤과 얘기를 접한 나머지, 고려장이란 것이 일종의 전설에 불과한 것인데도, 지식인(?)답게 대처를 하지 못했다. ‘어 그 참 이상한데’ 하면서도 반론을 제기하지 못하고 할아버지에게 끌려 다녔다. 며칠 뒤 같은 연구 프로젝트의 한 영역인 울릉도 역사유적 조사를 위해 국사과 교수들과 대학원생들이 들어왔다. 같은 숙소에 묵으며 이런저런 얘기를 하던 중에 그 할아버지 얘기를 하니, 당시 민족문화연구소 소장이던 국사과 김윤곤 교수님이 박장대소하셨다. 그건 도굴의 흔적으로, 도굴꾼들이 무덤에 굴을 파서 돈 될 만한 것은 가져가고 나머지...